미궁 문제 소재 정리

[소재] 모스 부호

뉴비라비 2024. 6. 9. 14:32
반응형

미궁의 소재에 단골로 출현되는 통신 방식 중 하나이다.

예전에 전선을 이용한 통신 시절 때부터 고안된 방식의 체계이며, 점과 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기초적이고 단순하지만 그만큼 오래전부터 사용되는 통신 체계이기도 하다.

지금도 비상연락망이나 군사전선 같은 경우엔 비상용으로 모스부호용 전신기가 존재하긴 한다.

 

기본은 영문자를 기준으로 해석하지만, 한글 모스부호도 있다.

자세한건 아래 내용을 참고하기 바란다.


먼저 모스부호는 점(·)과 선(-)의 두 가지 기호가 섞여서 각 문자를 상징한다.

여기서 말하는 점/선은 실제로는 전신기 상에서 음의 길이를 뜻한다.

영화에서 나오는 그 따따따 따 따따.. 뭐 이런 소리라 보면 된다.

 

이를 읽을 때는 편의 상 점은 돈(도, 똔, ..)으로, 선은 쯔로 읽는다

가령 구출 신호를 나타내는 SOS를 모스부호로 나타내면 · · · / - - - / · · · 가 된다.

이를 읽는다고 하면 돈돈돈/쯔쯔쯔/돈돈돈 뭐 이런 식이 된다.

 

이를 정리한 표가 아래와 같이 나와있다.

모스부호 영문표

영문표는 위와 같다.

이 중에서 가장 단순한건 점 한 개만 있는 E와 직선 한 개만 있는 T가 아닐까 싶다.

 

모스부호 숫자표

숫자표는 위와 같이 정리되어 있다.

모두 다 5개의 기호를 사용하며,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직선이나 점을 연달아 표현한다는게 특징이다.

 

모스부호 한글표

이와 같이 한글도 모스부호가 존재한다.

실제로는 글자를 조합해야 하므로 모스부호로 전보를 친다 하면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다.

아무튼 한글에 대응하는 모스부호도 위와 같이 정리되어 있다.


이렇듯 단순한 두 가지 기호의 반복사용이라는 점에서 미궁에선 매우 단골 소재로 등장한다.

가령 이런식으로 예시 문제를 하나 꺼내보면 이해가 갈 것이다

모스부호 예시문제

위 문제는 모스부호를 기반으로 만든 간단한 미궁 문제이다.

 

먼저 좌측을 보면 말 사진이 있고, 그 중 1/5 부분만큼에 M이라는 글자가 차지해 있다.

말을 영어로 바꾸면 horse 이고, 맨 앞 글자가 m으로 바뀌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왼쪽의 그림은 Morse를 상징하고 있다.

즉, 모스코드를 활용해서 오른쪽을 변환해야 한다는 비유적인 소문제이다.

 

이를 통해 우측의 야구공과 배트를 점/직선으로 바꿔 모스부호를 해석하면

첫 줄: ·-·· = L

둘째 줄: · = E

마지막 줄: --· = G

로 각각 대응되어서 정답은 LEG 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모스부호를 변환해주는 사이트가 있다

필요하면 아래 링크로 가서 모스코드를 해석하면 되겠다.

https://morsecode.world/international/translator.htm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