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궁 문제 소재 정리

[소재] 매직아이

뉴비라비 2024. 7. 7. 09:47
반응형

이번에도 조금 특이한 소재를 하나 들고와봤다.

거의 문제로 나온 적은 없는데 한 두 번 마주친 적이 있어서

이러한 소재들도 미궁 문제로 나오기도 하는구나 정도로 참고하고 넘어가면 좋을 법하다 생각한다.


흔히 매직아이라고 불리우는 이 기술의 원 명칭은 오토스테레오그램(Autostereogram)이라고 한다.

평면의 이미지를 잘 겹쳐 보는 과정을 통해 입체를 보는 듯한 느낌을 갖는 거라 보면 된다.

가령 아래와 같은 예시 사진을 하나 들고와보도록 하자.

평면 형태로 그려진 별 두 개를 나란히 붙여놓았다

위와 같이 평면 형태의 별 두 개가 있다고 하자.

자세히 비교해보면 살짝 모양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각각 따로 놓고 보면 평면 형태로 그림이 그려져 있지만,

이를 겹쳐보면 입체처럼 보이도록 만들어놓은 간단한 장치라 보면 된다.

 

두 개의 이미지를 연달아 보여줄 때

만일 위 두개의 이미지를 연달아 보여주면 이 처럼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간단하게 만든거라서 생각보다 매끄럽지는 않다.

 

실제로 2D사진 기반으로 3D형태를 구현할 때는 이보다 정교하게 제작된 장치를 활용해 녹화하고

최종적으로 3D형태로 복원하는 작업을 거친다고 한다.

 

이를 응용한 형태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매직아이라는 것이며,

이미지를 적당히 겹쳤을 때 3D 형태처럼 물체나 글자가 나타나오게 된다.


실제로 매직아이를 만들 수 있는 사이트는 여러 곳이 존재하는데, 대표로 아래 하나를 들고와봤다.

https://www.easystereogrambuilder.com/

 

Easy Stereogram Builder

 

www.easystereogrambuilder.com

위 사이트에 들어가면 Mask라고 하는 항목과 Pattern이라는 항목이 있다.

Mask는 매직아이의 최종 입체 형태라 보면 된다.

Pattern은 배경으로 어떤 이미지를 활용할 것인가를 결정한다고 보면 된다.

자기가 직접 커스텀해서 만들 수 있지만 기본 소재들도 존재한다.

 

위 사이트를 활용해서 아래의 간단한 예시 문제를 만들어봤다.


매직아이 활용 예시문제

위와 같은 은행잎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매직아이 문제를 하나 만들어왔다.

그냥 봤을 땐 단순히 깨진 이미지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 적절히 시선을 겹쳐보면 아래의 모양들이 하나의 형태로 겹쳐지게 된다.

 

예시문제 설명용 도식

위와 같이 '꿈'이라는 글자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며

적절하게 시선을 겹치면 해당 글자가 나오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 된다.


이처럼 미궁 문제 중에는 간혹 특수한 형태의 문제들도 존재한다.

모르면 이게 뭐지 할만한 것도 있지만,

모르더라도 직감을 활용해 풀 수 있는 문제들도 꽤나 있다.

따라서 다양하게 문제들을 접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본다.

반응형